건물은 토지와는 달리 인위적인 축조물로서 재생산이 가능하고, 시간경과에 따른 가치소모가 전제되는 소멸성 자산으로서 토지와는 다른 여러 가지 특성을 가집니다.
이동가능성
건물은 원칙적으로 부동성의 특성을 가지지만, 최근 이동식 주택의 등장이나 이축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비이동성의 특성만 있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생산가능성
건물은 다른 상품과 같이 생산이 가능한 축조물이며 증•개축 등으로 그 규모를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건축에 의한 생산가능성이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내구성(비영속성)
건물은 토지와는 달리 인위적인 축조물이기 때문에 재생산이 가능한 내구소비재로써 내용연수를 가진 내구성(비영속성)의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즉, 건물은 사용수명이 일반재화보다 길기 때문에 가격이 하락하여도 재구매수요가 빈번하게 발생하지 않습니다.
물리적 동질성
건물은 인위적인 축조물이기 때문에 동일 자재를 사용한 동종의 건물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으므로 물리적 측면에서 동질성의 특성을 가집니다. 다만, 경제적•법적 성격이 다르면 그 가격도 달라집니다.
종속성(상호 지배성)
건물은 토지 위에 정착하여 축조되는 것이기 때문에 토지는 축조된 건물의 용도나 이용상황 등에 따라서 어느 정도 영향을 받기도 하고, 동시에 건물은 토지의 개별적 요인을 지배하는 성질을 지니기도 합니다. 따라서 건물은 토지를 지배하기도 하고, 토지에 의하여 지배를 받기도 하는 종속성(상호 지배성)의 특성을 가집니다.
'경제•금융•투자 > [투자 : 부동산] 기본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학 총론] 10. 부동산의 개념과 분류 : 부동산의 속성 2 (0) | 2023.04.16 |
---|---|
[부동산학 총론] 9. 부동산의 특성 및 속성 : 부동산의 속성 (0) | 2023.04.16 |
[부동산학 총론] 7. 부동산의 특성 및 속성 : 토지의 특성 3 (0) | 2023.04.15 |
[부동산학 총론] 6. 부동산의 특성 및 속성 : 토지의 특성 2 (0) | 2023.04.15 |
[부동산학 총론] 5. 부동산의 특성 및 속성 : 토지의 특성 (0) | 2023.04.15 |
댓글